은퇴 준비를 위한 연금투자,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신가요? 요즘 퇴직연금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투자 상품인 TDF(Target Date Fund)는 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을 자동으로 배분해주는 스마트한 펀드입니다. 국내 TDF 시장은 이미 15조원을 돌파했고, 2029년에는 1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10. 하지만 TDF 투자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TDF로 연금투자를 시작하기 전 꼭 고려해야 할 5가지 핵심 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TDF란 무엇인가? - 연금투자의 새로운 패러다임
TDF(Target Date Fund)는 펀드매니저가 근로자의 은퇴 날짜에 맞춰 주식과 채권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이름에 포함된 숫자(예: TDF 2030, 2040, 2050)는 목표 은퇴 연도를 의미하며, 투자자는 자신의 예상 은퇴 시점에 맞는 TDF를 선택하면 됩니다.
TDF의 가장 큰 특징은 글라이드패스(Glide Path) 전략으로, 은퇴 시점이 멀수록 수익성이 높은 주식 비중을 높게 유지하다가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안정적인 채권 비중을 점차 높여가는 방식입니다. 마치 비행기가 착륙하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죠.
TDF 연금투자 시 고려해야 할 5가지 핵심 사항
1. 자신에게 맞는 TDF 유형 선택하기
TDF는 목표 은퇴 시점에 따라 다양한 빈티지(Vintage)로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출생연도에 60을 더한 숫자에 가까운 TDF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5. 예를 들어 1985년생이라면 2045년(1985+60)에 가까운 TDF2045나 TDF2050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나이만으로 결정하기보다는 자신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능력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성향이라면 더 긴 기간의 TDF를, 안전을 추구한다면 더 짧은 기간의 TDF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운용사별 수수료 비교하기
TDF는 운용사마다 수수료 구조가 다릅니다. 검색 결과에 따르면 국내 TDF 운용사별 수수료는 KB온국민 TDF2050의 경우 연보수 0.70%, 미래에셋 TDF2050 0.71%, 메리츠프리덤 TDF2050 0.622%, 삼성한국형 TDF2050 1.09% 등으로 운용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TDF ETF의 경우, 삼성자산운용 KODEX TDF2050액티브는 연 0.5313%, KB자산운용 RISE TDF2050액티브는 연 0.2640%로 차이가 큽니다. 장기 투자 상품인 TDF는 수수료 차이가 복리 효과로 인해 최종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비교 후 선택해야 합니다.
3. 퇴직연금 계좌에서의 TDF 활용 전략
퇴직연금 계좌에서 TDF를 활용하면 여러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특히 DC형 퇴직연금과 IRP 계좌에서는 '적격 TDF'로 분류된 상품의 경우 위험자산으로 분류되지 않아 100% 투자가 가능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한 70%는 주식이나 ETF 등 원하는 종목으로 채우고, 나머지 30%는 주식 비중이 높은 TDF2050 액티브 ETF를 담는 전략"으로 전체 자산의 주식 비중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분산투자 효과 확인하기
TDF는 글로벌 주식과 채권에 분산투자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운용사마다 투자 방식과 편입 자산군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키움키워드림 TDF는 글로벌 주식, 채권을 포함하여 물가상승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물가연동채 및 부동산·리츠·인프라 등 대체자산에도 투자"하는 등 운용사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TDF가 어떤 자산에 어떤 비중으로 투자하는지 확인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와 일치하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특히 해외 자산 비중이 높은 TDF는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5. 시장 변동성 대응 능력 평가하기
TDF는 자동 리밸런싱 기능이 있어 편리하지만, 이것이 항상 최적의 자산 배분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코로나19사태 또는 금융위기 같은 사태와 같은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주식 비중이 높을 때 직접투자하는 것이 아닌 이상 즉각적인 대응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2022년에는 TDF 수익률이 -15.4%로 크게 하락했으며, 이는 목표 시점이 멀수록(주식 비중이 높을수록) 더 큰 하락을 경험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DF의 자동 리밸런싱에 전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시장 상황에 따라 추가 투자나 부분 환매 등의 전략적 대응도 고려해야 합니다.
TDF 연금투자,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TDF 연금투자는 한 번의 선택으로 은퇴까지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올 인 원(All in One)" 전략뿐만 아니라, "핵심-위성 전략"이나 "바벨 전략" 등 다양한 활용법이 있습니다.
장기 투자의 성패는 시작 시점의 현명한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5가지 체크포인트를 꼼꼼히 확인하고, 자신의 투자 상황과 목표에 맞는 TDF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TDF는, 특히 2022년(-14.8%)을 제외하면 매년 원리금보장 상품보다 월등히 높은 수익률을 냈으며, 2018년 이후 연평균 수익률은 8.1%로 기록되고 있습니다10. 성장하는 연금 시장에서 TDF의 중요성은 앞으로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TDF로 연금투자를 시작하실 건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연금투자 계획을 공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