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0월 12일 09:00(한국시간) 기준 업비트·바이낸스 데이터를 종합한 심층 분석. 김치 프리미엄, 펀딩비, 변동성(볼린저), RSI·MACD 관점, 옵션 심리, 뉴스 기반 매수 추천 점수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핵심 요약
- 업비트 기준 시세: BTC 170,593,000원(-0.97%), ETH 5,777,000원(-2.08%), XRP 3,673원(-0.41%), DOGE -7.14%로 급락.
- 바이낸스 선물: BTC 110,687 USDT(-2.05%), ETH 3,744.74 USDT(-2.36%). 펀딩비 10종목 중 9종목 음수, 평균 약 **-0.015%**로 숏 포지션 쏠림.
- 김치 프리미엄(USDT=1,541원 가정): BTC +0.01%, ETH +0.11%, 주요 알트도 ±0.2% 내외로 사실상 0%대.
- 변동성: 24시간 고저폭—BTC 약 3,799 USDT(중간값 기준 ≈3.41%), ETH 약 234 USDT(≈6.24%), XRP 약 **0.209 USDT(≈8.71%)**로 밴드 확장 국면.
- 뉴스 기반 매수 추천 점수(시장 전체): 최신치 -1.75(08:37), 최근 6개 평균 -0.82로 ‘관망·약세 경계’ 유지.
1) 오늘의 시세 스냅샷(업비트 기준)
- 비트코인(BTC): 170,593,000원 (-0.97%), 거래대금 7,649억
- 이더리움(ETH): 5,777,000원 (-2.08%), 거래대금 6,284억
- XRP: 3,673원 (-0.41%), 거래대금 1조 1,517억(상위 유동성)
- DOGE: 286원 **(-7.14%)**로 낙폭 확대
- USDT/USDC: 1,541원 (+0.39%), 1,537원 (+0.79%) — 원/달러 강세 반영 + 스테이블 선호
관찰 포인트
- 알트 전반 약세 속 XRP 거래대금이 압도적(수급 집중).
- 스테이블 코인 원화가 상승은 달러 강세/리스크 회피 신호와 결이 맞음.
2) 바이낸스 선물 포지션 & 펀딩비 해석
- BTCUSDT 110,687(-2.05%), ETHUSDT 3,744.74(-2.36%)
- 펀딩비: 10종목 중 9종목 음수(BNB 0.0000% 제외). 샘플 평균 약 -0.015%.
- 상대적으로 음수 폭이 큰 편: ETC(-0.0440%), TRX(-0.0357%), XLM(-0.0243%)
- 해석: 숏 포지션이 우세(숏이 롱에게 이자 지급). 숏 과밀 구간에서는 반등 시 단기 숏 스퀴즈가 나올 여지. 다만 변동성 큰 구간이라 “반등=추세 전환”으로 단정 금물.
3) 김치 프리미엄(원화-달러 스프레드) 점검
USDT 1,541원을 기준으로 바이낸스 선물 → 원화 환산 대비 업비트 현물을 비교:
종목업비트 (KRW)바이낸스 환산 (KRW)김치 프리미엄
BTC | 170,593,000 | 170,568,667 | +0.01% |
ETH | 5,777,000 | 5,770,644 | +0.11% |
XRP | 3,673 | 3,670 | +0.07% |
LINK | 26,510 | 26,490 | +0.08% |
TRX | 485 | 484.20 | +0.17% |
XLM | 497 | 496.59 | +0.08% |
의미: 국내/글로벌 가격 차가 ±0.2% 내외로 사실상 중립. 한국발 과도한 매수·매도 쏠림 없이 균형적 수급. 재정거래 유인은 미미.
반응형
4) 변동성 & 기술적 분석(RSI·MACD·볼린저·이동평균)
- 변동성(24h 고저폭)
- BTC: 113,300.1 ↔ 109,501.0 → 약 3,799 USDT, 중간값 기준 ~3.41%
- ETH: 3,874.28 ↔ 3,640.00 → 약 234.28 USDT, ~6.24%
- XRP: 2.5046 ↔ 2.2955 → 약 0.2091 USDT, ~8.71%
→ 볼린저 밴드 확장 국면의 전형적 패턴. 장대봉/꼬리 반복 시 밴드 폭이 더 벌어질 수 있음.
- RSI: 단기 급락 후 되돌림 시 과매도권 진입/이탈 공방이 빈번. 초과매도에서의 V자 반등보다는 횡보·재조정을 동반한 완만한 복원 가능성을 우선.
- MACD: 단기 히스토그램 축소·확대가 빠르게 교차. 데드크로스 이후 약세 모멘텀 둔화 → 제로선 재도전의 흐름을 의식.
- 이동평균선: 단기선이 중기선 하회 상태에서는 반등도 저항 확인성 성격. 반등 시 전고·단기MA에서 매물대 저항 체크 필요.
전술적 포인트
- 급락 뒤 첫 반등은 종종 **하락 추세 내 ‘되돌림(Dead Cat)’**로 끝남.
- 신호 확인 없이 추격매수보단 분할·시나리오 매매가 유리.
5) 온체인·수급·뉴스 모멘텀 체크
- 최근 24~48시간 헤드라인은 대규모 강제청산, 관세·거시 변수에 따른 급락 등 리스크 이벤트가 중심. 일부 구간에서는 수십억~수백억 달러대 청산 언급까지 보도되며 심리를 크게 훼손.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기금·기관·ETF 관련 수요 뉴스가 간헐적 완충 역할. 단기 심리를 지탱하나, 지금은 부정이 우위인 장세가 기본 톤.
요약: 단기 악재/청산 → 반등 시도 → 재조정의 변동성 장세. “악재 우위, 호재는 완충” 구조.
6) 옵션 심리(암묵적 OI/PCR 흐름) 해석
- 확정 수치가 아닌 정성적 해석:
- 연쇄 청산·급락 보도와 펀딩 음수 확산은 OI 축소 및 풋 수요(=PCR 상승) 경향을 시사.
- 다만 김프 중립과 현물 강제매도 흔적 부족은 공포 일변도까지는 아님.
→ 풋 우위·숏 과밀 구간에서 반등 스파이크 가능성은 있으나, 추세 반전은 기술적 저항(단기MA·전고) 상향 복귀 확인이 필요.
7) 매수 추천 점수 (시장 전체용)
주의: 개별 종목별 점수가 아닌, 전체 코인시장에 대한 AI 뉴스 기반 매수 추천 점수입니다.
생성시각점수간단 해석
08:37 | -1.75 | 관세 이슈·청산 보도 우세, 보수적 접근. news_coin |
07:40 | -0.64 | 낙관·우려 혼재, 방향성 모호. news_coin |
06:39 | 0.03 | 연기금 진입·ETH 반등 가능성 등 상쇄. news_coin |
05:39 | -1.97 | 급락·청산 여파 지속, 유동성 위축. news_coin |
04:42 | -1.30 | 레버리지 경고·관세 여파로 약세 우위. news_coin |
03:36 | 0.70 | 금리 인하 기대감이 일부 완충. news_coin |
- 최근 6개 평균: -0.82 → ‘관망·약세 경계’(단기 반등 여지는 있으나 매수 확신은 이르다)
- 최신치(08:37): -1.75로 다시 둔화
8) 시나리오별 전략 &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
시나리오 A: 숏 과밀 반등(스퀴즈)
- 조건: 음수 펀딩 지속 + 저점 지지 선 방어 + 거래대금 급증
- 대응: 단기 트레이딩 중심(익절 규칙 선명히), 이월·추격 금지
시나리오 B: 반등 후 재조정(가장 가능성 높음)
- 조건: 단기MA·전고 부근 저항 확인, 캔들 상단 꼬리 다수
- 대응: 분할 접근(매수도 분할, 손절도 분할), 레버리지 축소
시나리오 C: 추세 전환(상방)
- 조건: 일중·4시간봉 기준 MA 재돌파·지지 전환, MACD 제로선 상향
- 대응: 현물 비중 확대, 파생은 헤지 중심으로 전환
리스크 체크리스트
- 레버리지 비율 최대 한도 사전 지정(증거금 여유 필수)
- 손절 가격·시간(봉 마감 기준) 사전 명시
- 이벤트 캘린더(거시·정책·거래소 이슈) 확인 후 포지션 크기 조절
- 스테이블 비중 유지(변동성 피크 구간 회피 전략)
9) 결론: 오늘의 뷰
- 가격: 업비트/바이낸스 모두 단기 약세, DOGE 등 알트 낙폭 확대.
- 포지션: 펀딩 음수 확산으로 숏 과밀 위험(스퀴즈 리스크).
- 수급: 김프 거의 0%, 국내외 수급 균형—과도한 쏠림 없음.
- 심리: 뉴스 감성 기준 ‘관망·약세 경계’(-0.82). 반등은 가능하나 추세 전환 신호 확인 전 추격 금지.
- 전략: 기술적 저항 재돌파 확인 전에는 분할·단타·리스크 관리가 우선. 스퀴즈 급등 시에도 익절·재진입 규칙이 성패를 가른다.
부록: 참고 수치(요약)
- 펀딩비: 10종목 중 9종목 음수, 평균 약 -0.015%
- 24h 고저폭: BTC ~3,799 USDT, ETH ~234 USDT, XRP ~0.209 USDT
- 김치 프리미엄: BTC +0.01%, ETH +0.11%, 주요 알트 ±0.2% 내외
본 리포트는 업비트·바이낸스 현재 시세 및 제공된 뉴스·히스토리 데이터만을 근거로 작성되었으며, 개별 종목 매수 추천점수는 제공하지 않습니다(시장 전체 지표만 활용).
반응형
'투자자산 (주식과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0월 13일 06:00 기준 업비트·바이낸스 데이터로 해석한 암호화폐 시장 전망 (BTC 1억7,353만 원, ETH 622만 원) (0) | 2025.10.13 |
---|---|
[업데이트] 2025년 10월 3일 07:00 (KST) 코인시장 심층 분석: 업토버 랠리 초입, 펀딩비·레버리지 청산·ETF 자금 유입이 만드는 추세 전환 (1) | 2025.10.03 |
2025년 10월 1일 암호화폐 시황: 비트코인 1억4천만 원 돌파, AI 매수점수 +1.47 (0) | 2025.10.01 |
2025년 9월 27일 07:00 코인 시황 총정리 (업비트 기준) (1) | 2025.09.27 |
2025년 9월 26일 07:00 코인 시황 리포트 (2)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