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핵심 한 줄 요약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전고점권에서 숨고르기. 해외선물 펀딩은 대체로 미세 롱 우위, 국내 현물은 **김치 프리미엄 약 +0.13%**로 과열 신호 미약. 뉴스 기반 **매수 심리(점수)**는 어제 저녁 3~4점대 강세에서 새벽 2점대 초반으로 둔화. 변동성(24h)과 거래대금은 ETH>BTC로 회전이 관찰됩니다.
1) 오늘의 숫자 한눈에 보기 (08/12 07:00 기준)
해외(바이낸스 선물)
- BTCUSDT: 118,521.7달러 (24h -0.17%)
- 24h 고가 122,450, 저가 118,050 → 변동폭 약 3.7%
- 거래대금 26.48B, 펀딩 +0.0100%
- ETHUSDT: 4,210.93달러 (24h -0.17%)
- 24h 고가 4,370.00, 저가 4,164.23 → 변동폭 약 4.9%
- 거래대금 30.96B, 펀딩 +0.0091%
- 24h 수익률 상·하단: TRX +1.64%, LINK -4.21%
- 특이 펀딩: XLM -0.0105%(숏 우위 신호)
국내(업비트 현물)
- BTC: 164,017,000원(+0.10%)
- ETH: 5,824,000원(-0.38%)
- TRX: 476원(+2.59%), DOGE: 309원(-4.04%)
김치 프리미엄(간이 산출)
- USDT=1,382원 기준 역산
- BTC 해외가×USDT ≈ 163,797,000원 vs 국내 164,017,000원 → 약 +0.13%
- ETH ≈ 5,819,500원 vs 5,824,000원 → 약 +0.08%
→ 국내 과열 신호 미미(중립)
2) 뉴스 기반 매수 추천 점수 흐름
아래 점수는 제공된 뉴스 요약을 시간순으로 수치화한 결과입니다. 높을수록 매수 편향(–9~+9).
08/12 06:43 | 2.09 | 원화 신고가·거래대금 반등 기대 vs 안전 이슈 혼재 |
08/12 05:48 | 2.68 | 기관·정부 수요, 제도권 확대 우세하나 조정 경계 |
08/12 04:43 | 2.60 | 사상 최고 근접·기관 유입 지속, 경계 신호 일부 |
08/12 03:45 | 1.17 | 랠리·유입 기대 vs 차익실현·규제 혼조 |
08/12 02:41 | 2.29 | 최고가 경신·연금 허용 이슈, 변동성 동반 |
08/12 01:43 | 2.29 | 위와 동일 기조(긍정 우위+변동성 경계) |
08/12 00:51 | 2.86 | 원화 신고가·ETF 유입·개인 매수 확대 |
08/11 23:48 | 2.52 | ETF 수정안·기업 매수 vs 일부 변동성 경고 |
08/11 22:40 | 3.18 | 대규모 매수·신고가 경신 뉴스 집중 |
08/11 21:45 | 4.14 | ETP 최대 유입·대학기금·기관 보유 확대 |
08/11 20:42 | 3.27 | 협업·DeFi 진입·신고가 임박 모멘텀 |
08/11 19:44 | 4.58 | 퇴직연금 편입·기관 대규모 투자 집중 |
08/11 18:39 | 3.81 | 원화 신고가 경신·상장 모멘텀 |
08/11 16:31 | 4.21 | 12.1~12.2만 회복·순유입 확대 |
해석
- **어제 저녁(19~23시)**에는 3~4점대 강세가 우세 → 제도권 자금·ETF 유입·기관 보유 확대 뉴스가 중심.
- 새벽~현시각에는 2점대 초반으로 냉각 → 랠리 인식 속 ‘조정 경계’·보안/사기 이슈가 상쇄.
- 결론: 강세 기조는 유지되되, 속도 조절 구간에 진입.
3) 기술적 분석(가격/차트 관점)
비트코인(BTC)
- 구간: 24h 118,050 ~ 122,450달러, 종가 118,521.7
- 저항/지지:
- 1차 저항 122,450(24h 고가) / 2차 123,500~124,000(심리+전일 상단)
- 1차 지지 118,050 / 2차 117,000(CME 갭·심리대)
- RSI/MACD: 수치는 미제공이므로 일반 원칙으로 판단. RSI 50~70 구간에서 눌림 소화 시 재상향 여지. MACD는 신호선 근접 공방 시 데드→골든 재전환 관찰 필요.
- 볼린저밴드: 상단(고가권) 터치 후 중심선(20MA) 회귀 시 재상승 재료. 중심선 이탈 시 하단선(밴드폭 3~4% 기준) 테스트 열릴 수 있음.
- 이동평균선: 단기(5~20) 상향 배열 유지 시 눌림 매수, 20MA 이탈 시 50MA 테스트 가능성.
이더리움(ETH)
- 구간: 24h 4,164.23 ~ 4,370.00달러, 현가 4,210.93
- 저항/지지: 1차 저항 4,370, 지지 4,164.
- 거래대금: ETH 선물(30.96B) > BTC(26.48B) → 자금 회전이 ETH로 쏠림.
- 테크니컬 포인트: 전고 재도전 앞두고 단기 과열 해소형 조정 가능. 4,200 부근 박스에서 60~80달러 변동폭 트레이딩 유효.
알트 스냅샷
- TRX: +1.64%로 상대 강세, 펀딩 +0.0100%(롱 우위)
- LINK: -4.21% 하락과 높은 일중 변동(약 7.9%) → 지지 확인 후 분할 접근
- XLM: 현물 -2.73%에 펀딩 음수(-0.0105%) → 파생은 숏 우위, 반등 시 숏 커버 변동 주의
- LTC/ETC/ADA: 동반 약세. 박스 하단 수렴 후 거래량 동반 돌파 여부가 관건.
4) 온체인·기본적 분석(뉴스·자금 흐름)
- 기관/정부 수요 확대: “기업·정부 보유량 185만 BTC 돌파” 및 대학기금·연기금·ETF 순유입 등 제도권 자금 유입 뉴스가 연속.
- 정책/규제: 퇴직연금(401k) 암호화폐 편입 방향과 스테이블코인 협력 소식은 수요 기반 강화. 반면 일부 지역의 KYC 강화·규제 촉구는 변동성 요인.
- 수용성 확대: 우주여행 결제 도입 등 실사용 케이스 확장.
- 리스크: 대규모 롱 청산(1시간 187억 원), 보안·사기·투자자 안전 경고 뉴스 빈도 증가 → 레버리지 관리 필요.
종합: 중장기 수요는 견조, 단기론 정책/보안 변수와 과열 신호 체크가 병행되어야 함.
5) 파생·심리 지표 관찰 포인트
- 펀딩비:
- BTC +0.0100%, ETH +0.0091% 등 미세 롱 우위 → 과열 신호 아님.
- XLM 음수 펀딩은 숏 포지션 우위(리스크-온 약화) 신호.
- 공포·탐욕 지수: 수치 미제공. 다만 신고가·유입 뉴스가 우세 → 탐욕 쪽 기울 가능. 구체 수치 확인 전 전략 과열 금지.
- 옵션 OI·Put/Call: 수치 미제공. 전고점권에선 OI 증가 시 급락 리스크(롱 청산) 확대 가능, PCR 하락 시 콜 우위(상방 베팅) 확인 필요.
- 레버리지 포지션 추이: 롱 청산 뉴스 발생 → 단기 변동성 재확대 트리거 가능.
6) 오늘의 전략 제안(거래 아이디어)
아래는 제공 데이터에 근거한 리스크 관리 중심 시나리오입니다. 수치는 반드시 재확인하고, 손절·익절 규칙을 선명히 하세요.
BTC
- 박스 매매: 118,050~122,450 구간.
- 저가대(118,050±): 현물 분할 매수 또는 선물 소량 롱 시도, 손절 117,000 하회 종가.
- 고가대(122,450±): 저항 재확인 시 단타 숏/헤지, 돌파 후 121,800~122,200 재테스트 성공 시 롱 전환.
- 스윙: 20MA 유지 시 보유, 이탈·반등 실패 시 비중 축소.
ETH
- 레인지: 4,164~4,370.
- 4,200대 눌림 매수 → 4,320~4,360 분할 청산, 4,370 강돌파 시 추격은 소량만.
- 리스크: 거래대금 1위(선물)인 만큼 변동성 스파이크 대비(손절 엄수).
알트
- TRX: 상대강세 유지 시 이평 밀집 상단 돌파만 추종, 추격 과매수 금지.
- LINK/XLM/ADA: 지지 재확인 전까지는 반등 매수보다 리스크 관리. XLM은 음수 펀딩 해소(0 전환) 확인 후 접근.
- DOGE: -4%대 하락. 변동성 확대 국면에선 뉴스 트리거 동반 돌파만 추종.
7) 요약 & 전망
- 가격: BTC 118.5k, ETH 4.21k. 24h 범위 상단/하단이 뚜렷해 레인지 트레이딩 유효.
- 심리/자금: 뉴스 점수는 어제 저녁 고점(3~4점대) → 새벽 2점대 초반으로 냉각. 강세 모멘텀은 유효하나 속도 조절.
- 파생: 펀딩은 중립~약롱, XLM 음수 예외. 롱 청산 뉴스로 단기 변동성 주의.
- 온체인/기본: 기관·정책 모멘텀이 중장기 상방을 견인. 다만 보안·규제·사기 이슈는 리스크 프리미엄 유지.
- 전망: 단기 조정/횡보 속 전고 재도전 시나리오 우세. 전고권에선 분할·헤지·현금비중 병행이 승률을 높임.
부록) 원자료 하이라이트(요지)
- 비트코인 원화 신고가 경신, 퇴직연금 편입 방향, USDC 협업, 기관·정부 보유 185만 BTC, 블루오리진 결제 도입, 롱 청산 187억 원, XLM 음수 펀딩, ETH 선물 거래대금 30.96B로 BTC 추월 등.
면책: 위 내용은 제공된 숫자와 뉴스 요약만을 근거로 한 시장 코멘트이며, 투자 결과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실행 포인트: 오늘은 **레인지 대응 + 리스크 관리(손절·헤지) + 알트 선별(거래대금·펀딩 체크)**가 핵심입니다.
반응형
'투자자산 (주식과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8월 14일 코인 데일리 리서치: 비트코인 12.3만 달러 재탈환, 이더리움 강세 유지, ADA 선도…(기술·온체인·파생 종합) (0) | 2025.08.14 |
---|---|
2025년 8월 13일(수) 정오 암호화폐 데일리: 이더리움·체인링크 주도, 펀딩비는 ‘온건 롱’… 오늘의 매수/리스크 체크 완전판 (7) | 2025.08.13 |
암호화폐 시장 전망: XRP 디커플링과 기관 매수 확대가 이끄는 변곡점 (7) | 2025.08.11 |
2025년 8월 10일 암호화폐 시장 분석 리포트 (2) | 2025.08.10 |
암호화폐 시장 대변혁의 서막: 트럼프 401(k) 퇴직연금 개방이 불러온 패러다임 전환 [2025년 8월 9일 종합분석] (10)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