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조정, 이더리움 거래대금 선두, 김치 프리미엄 중립권… 펀딩비·OI·RSI/MACD/볼린저/이동평균 종합 점검
핵심 한 줄 요약
- 가격: BTC -3.95%(118,424.2), ETH -3.99%(4,560.47). 24시간 고점 대비 하락폭은 BTC -4.91%, ETH -4.87%.
- 거래대금: 선물 기준 ETH 48.35B > BTC 31.37B로 이더리움이 주도.
- 펀딩비: XRP -0.0063%, XLM -0.0422%(숏 우위), BTC는 **+0.0026%**로 중립에 가까움.
- 국내 현물 흐름: 업비트 ADA +5.36% 강세, ETH 거래대금 1조 3,420억으로 최상위.
- 김치 프리미엄(08:00 환산): BTC +0.06%, ETH +0.04%, ADA +0.29%, LINK +0.05%(중립권).
- 파생/심리: 선물 OI 829억 달러 돌파, 최근 청산 6.77억~10억 달러 보도, 1시간 31억 달러 매도 헤드라인 동반.
- 뉴스 기반 시장 점수: 최근 24시간 평균 +3.37, 직전 6시간 평균 +2.47, 최신치 +0.99(온건한 매수 우위이나 변동성 경계).
1) 가격·거래대금 스냅샷(08:00)
- Binance 선물(USDT):
- BTC 118,424.2 (-3.95%), 고가 124,545.6, 저가 117,004.0, 일중 변동폭 ~6.45%.
- ETH 4,560.47 (-3.99%), 고가 4,794.00, 저가 4,451.00, 일중 변동폭 ~7.71%.
- 상대 강세: ADA +1.81%, **TRX -1.11%**로 방어적.
- 상대 약세: ETC -8.36%, LTC -6.94%, XLM -6.69%, LINK -6.02%, XRP -5.94%.
- 선물 거래대금: ETH 48.35B > BTC 31.37B → 단기 모멘텀의 무게중심이 ETH에.
- 업비트 현물(KRW):
- BTC 165,069,000 (-1.77%), ETH 6,355,000 (-1.91%).
- 강세 종목: ADA +5.36%(거래대금 5,953억), 국내 매수 심리 유입.
- 약세 종목: DOGE -6.59%, LINK -3.98%.
- 거래대금 상위: ETH 1조 3,420억 > SOL 7,176억 ≈ BTC 7,145억.
해석: 글로벌 선물에선 ETH가 거래 주도권을 쥐었고, 국내 현물에선 ADA가 두드러진 강세. 대형 알트 일부(ETC/LTC/XLM/Link)는 조정폭이 컸고, TRX는 상대적 안정.
2) 김치 프리미엄(직접 환산)
USDT 1,393원을 기준으로 바이낸스 선물가를 KRW로 환산해 업비트 가격과 비교:
- BTC: 118,424.2 × 1,393 = 164,964,910.6원(환산) vs 업비트 165,069,000원 → +0.06%
- ETH: 4,560.47 × 1,393 = 6,352,734.71원 vs 6,355,000원 → +0.04%
- ADA: 0.9284 × 1,393 = 1,293.26원 vs 1,297원 → +0.29%
- LINK: 22.494 × 1,393 = 31,334.14원 vs 31,350원 → +0.05%
해석: 중립~소폭 플러스 영역. 뉴스 타임라인에서 **김치 프리미엄 -0.34%**가 관측된 시점도 있었으나, 08:00 기준은 거의 중립권으로 회귀.
3) 파생·심리 지표: 펀딩비, OI, 청산, 옵션 흐름
- 펀딩비(선물)
- BTC +0.0026%(거의 중립), ETH +0.0100%, ADA +0.0100% 등 대다수 소폭 플러스 → 롱 포지션이 약간 우위.
- XRP -0.0063%, XLM -0.0422% → 숏 포지션 우위. 해당 종목은 하락폭도 상대적으로 컸음(24시간 기준).
- 미결제약정(OI): 뉴스에 **“비트코인 선물 OI 829억 달러 돌파”**가 명시. 고점권에서 레버리지 비중이 높아진 상태.
- 청산 동향: 24시간 6억 7,700만 달러 청산 보도, 또 다른 헤드라인에선 “10억 달러 청산—건강한 조정” 서술.
- 대규모 매도: “1시간 만에 31억 달러 매도” 보도 → 급등 이후 강한 이익실현이 한 차례 쏟아진 흔적.
- 옵션 Put/Call 비율: 제공 데이터에 정확한 수치 표기는 없음. 다만 사상 최고가(ATH) 인접/경신 구간에서 일반적으로 콜 수요가 한때 우세해지기 쉬우나, PPI 쇼크 후 조정으로 단기선에선 콜-풋 균형 재조정 가능성.
해석: OI와 펀딩을 함께 보면 큰 흐름은 여전히 롱 우위이나, 특정 알트(XRP/XLM)는 숏 우위+가격 약세로 종목별 분화. 최근 청산 헤드라인은 레버리지 과열의 디레버리징이 단기적으로 진행됐음을 시사.
4) 기술적 분석(가격 구간 기반 정성 판단)
비트코인(BTC)
- 구간: 고가 124,545.6 ↔ 저가 117,004.0 ↔ 현재 118,424.2
- 고점 대비 -4.91%, 저점 대비 +1.21% 반등.
- Bollinger Bands: 신고가 터치 이후 상단 밴드 과열권 접촉 → 밴드 폭 확장 → 상단 이탈 실패 후 중심으로 회귀 시도에 부합하는 전형적 패턴.
- RSI: 뉴스 흐름에 “RSI 과열 경고” 문구가 등장. 조정으로 과열 신호 해소 국면 진입 가능성(정량 수치 미공개, 방향성 코멘트만).
- MACD: 급등 후 히스토그램 축소/평탄화가 나타나기 쉬운 자리. 신호선 수렴 가능성 경계.
- 이동평균선: 중장기 추세는 ATH 갱신→상승추세 연장 신호가 유효. 다만 단기선(예: 4시간봉 기준 단기 이평)은 되돌림 구간에서 데드/골든 크로스 재정렬이 흔함 → 선 정배열 유지 여부 확인 필요.
이더리움(ETH)
- 구간: 고가 4,794.00 ↔ 저가 4,451.00 ↔ 현재 4,560.47
- 고점 대비 -4.87%, 저점 대비 +2.46% 반등.
- 거래대금 선두(선물 48.35B): 수급 집중이 뚜렷.
- 기술 시사점: BTC와 유사하게 상단 돌파-되돌림. 밴드 중심 회귀 후 재확장 재도전이 핵심 시나리오. RSI/MACD 역시 과열→완화 흐름을 점검.
전략 힌트(정성):
- BTC: 117,000~118,000대(최근 저가 부근)에서의 방어력이 단기 관건. 124,500대 재탈환 시 상단 밴드 재확장 가능.
ETH: 4,450~4,560대에서의 횡보/다지기가 이어지면 거래대금을 레버리지로 삼은 재시도 가능성.
- 지표는 수치 확정치가 없으므로 방향성만 반영: 과열 완화 후 재탄력 vs 밴드 중심 이탈 시 추가 조정의 분기.
5) 온체인·펀더멘털 요인(뉴스 기반)
- 정책/제도: 현물 ETF 순유입, 연금·기관 자금 유입 기조 반복 보도.
- 수탁/인프라: 씨티그룹의 스테이블코인·ETF 수탁/결제 서비스 검토, 코인베이스의 데리빗 인수(29억 달러) 등 제도권 인프라 확대 모멘텀.
- 채굴/공급: Block(잭 도시)의 고효율 ASIC·10년 수명 등 비용 구조 개선 뉴스.
- 온체인 심리: NUPL “아직 고점 아님” 보도 존재 → 장기 사이클 상 상승 여지 해석 여지.
- 리스크: PPI 상회로 단기 물가 쇼크, 규제 이슈(프로젝트 발표 예고 등), 거래소 해킹, 대규모 청산.
종합: 온체인/제도권 수요 신호는 긍정. 다만 매크로/보안 이슈가 단기 변동성의 현실적 리스크.
6) 종목별 포인트
- BTC: -3.95% 조정. 1시간 31억 달러 매도 보도 직격탄 이후 하단(117,004) 방어력 점검. 펀딩은 중립(0.0026%).
- ETH: 선물 거래대금 최상위(48.35B). 국내외 모두 거래 집중.
- ADA: 바이낸스 선물 +1.81%, 업비트 현물 +5.36% → 상대 강세, 김치 프리미엄 +0.29%.
- XRP: 가격 -5.94%, 펀딩 -0.0063%(숏 우위) → 하락·숏 동조화.
- XLM: 가격 -6.69%, 펀딩 -0.0422% → 숏 우위가 더 두드러짐.
- ETC/LTC/LINK: -6~-8%대 약세군. 추세 추종보단 되돌림 매매 선호 구간.
7) 리스크 시나리오 & 체크리스트
- 매크로: PPI 상회에 따른 단기 위험 선호 위축.
- 레버리지: OI 고점·청산 연속 뉴스 → 잔존 레버리지가 많은 국면에선 추가 변동성 재발 가능.
- 보안/규제: 거래소 해킹·규제 발표 예고 등 이벤트 리스크 상존.
- 김치 프리미엄: 중립권 유지 시 재정거래 흐름이 가격 안정에 기여하나, 급변 시 국내 체감 변동성 확대.
8) 매수 추천 점수(뉴스 기반, 전체 시장용)
최근 24시간 평균 +3.37, 직전 6시간 평균 +2.47, 최신치 +0.99
→ “완만한 매수 우위이나, 단기 변동성 경계” 해석이 합리적.
히스토리 테이블
08-14 01:52:53 | 4.32 |
08-14 02:44:06 | 4.32 |
08-14 03:40:23 | 4.33 |
08-14 04:44:58 | 3.01 |
08-14 05:43:16 | 3.00 |
08-14 06:48:34 | 2.17 |
08-14 07:51:10 | 4.03 |
08-14 08:43:16 | 4.46 |
08-14 09:52:14 | 5.20 |
08-14 10:49:20 | 4.74 |
08-14 11:45:56 | 4.11 |
08-14 12:47:07 | 3.84 |
08-14 13:38:24 | 4.01 |
08-14 14:45:08 | 4.78 |
08-14 15:43:22 | 2.62 |
08-14 16:33:01 | 4.24 |
08-14 17:40:48 | 3.21 |
08-14 18:44:05 | 4.16 |
08-14 19:46:01 | 3.16 |
08-14 20:46:00 | 2.23 |
08-14 21:46:07 | 4.50 |
08-14 22:52:41 | 3.57 |
08-14 23:59:58 | 1.30 |
08-15 00:52:22 | 1.10 |
08-15 01:55:55 | 2.74 |
08-15 03:01:25 | 2.74 |
08-15 04:53:23 | 2.84 |
08-15 05:46:37 | 3.75 |
08-15 06:54:16 | 1.76 |
08-15 07:47:31 | 0.99 |
보조 요약:
최고치: +5.20 (08-14 09:52)
- 최저치: +0.99 (08-15 07:47)
- 양/음수 비중: 양수 30 / 음수 0 → 중장기 강세 맥락은 유효, 다만 최신치 둔화는 단기 변동성 경계 신호.
9) 트레이딩 관점(정성 가이드, 수치 엄수)
- 현 시나리오: ATH 인접 → PPI 쇼크 조정 → 밴드 중심 재확인 흐름.
- 롱 관점:
- BTC: 117,000~118,000 방어 성공·거래량 수반 시 재상단(124,500대) 테스트 시나리오.
- ETH: 4,450~4,560 다지기 후 거래대금 유지 시 상단 재도전 가능.
- 숏 관점:
- 밴드 중심 하방 이탈 + 펀딩 급변(플러스→마이너스 전환 등) 동반 시 단기 하락 연장.
- 종목별:
- XRP/XLM: 음수 펀딩·가격 약세 동조화 → 숏 과열 청산 반등 vs 하락 추세 연장의 변곡.
- ADA: 국내 강세·김치 프리미엄 소폭 플러스 → 프로펠러 구간이지만 되돌림 변동성 경계.
리스크 관리:
**청산 헤드라인(6.77억~10억 달러)**과 OI 고점을 감안해, 레버리지는 완만하게.
- **지표 기반 자동화(밴드 중심/변동성 확대/펀딩 전환)**로 기계적 대응 유리.
- **옵션 헤지(P/C 밸런스)**는 수치 부재로 정량적 코멘트 생략.
10) 결론
- 큰 그림: ETF·기관 수요·인프라 확장(수탁/파생 인수) 등 펀더멘털은 견조.
- 단기: PPI 쇼크와 대규모 청산으로 과열이 건강히 식는 과정.
- 지금의 해석: 뉴스 점수 평균 +3.37, 최신치 +0.99가 말하듯 매수 우위는 유지되되, 속도 조절 국면.
- 실행 포인트: BTC 117k·ETH 4.45k 인근 방어력과 펀딩 전환·OI 추이에 따라 재상승 재개 vs 중심선 하방 이탈이 갈림길.
참고 수치 재정리
- BTC: 118,424.2 / 고가 124,545.6 / 저가 117,004.0 / 24h -3.95%
- 고점 대비 -4.91%, 저점 대비 +1.21%, 일중 변동폭 ~6.45%, 펀딩 +0.0026%
- ETH: 4,560.47 / 고가 4,794.00 / 저가 4,451.00 / 24h -3.99%, 선물 거래대금 48.35B
- 고점 대비 -4.87%, 저점 대비 +2.46%, 일중 변동폭 ~7.71%, 펀딩 +0.0100%
- XRP: -5.94%, 펀딩 -0.0063%
- XLM: -6.69%, 펀딩 -0.0422%
- ADA: 선물 +1.81%, 업비트 +5.36%, 김치 프리미엄 +0.29%
- 김치 프리미엄(08:00 환산): BTC +0.06%, ETH +0.04%, LINK +0.05%
본 글은 제공된 데이터에 근거한 시장 분석이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투자자산 (주식과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8월 14일 코인 데일리 리서치: 비트코인 12.3만 달러 재탈환, 이더리움 강세 유지, ADA 선도…(기술·온체인·파생 종합) (4) | 2025.08.14 |
---|---|
2025년 8월 13일(수) 정오 암호화폐 데일리: 이더리움·체인링크 주도, 펀딩비는 ‘온건 롱’… 오늘의 매수/리스크 체크 완전판 (8) | 2025.08.13 |
2025년 8월 12일 07:00 코인시장 데일리: BTC 11.85만 달러·ETH 4,210달러, 김프 미미(+0.13%), 펀딩 중립~약롱 우위 (3) | 2025.08.12 |
암호화폐 시장 전망: XRP 디커플링과 기관 매수 확대가 이끄는 변곡점 (7) | 2025.08.11 |
2025년 8월 10일 암호화폐 시장 분석 리포트 (2) | 202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