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트코인 11.3만 달러대, 매수 추천 점수·펀딩비·김치프리미엄·기술적/온체인/파생 분석 종합
한 줄 결론
- 단기 방향성: 전반적 조정 국면 속 약한 매도 우위(최근 6개 신호 평균 –0.92)이나, 과매도 압력과 규제 완화성 발언·채택 확대 뉴스가 하방 경직성을 일부 제공.
- 전략 요약: 비트코인 112,714 달러(24h 저점) 지지 확인 시 단기 반등 트레이드, 116,939 달러(24h 고점) 재확보 전까지는 스윙은 보수적 접근. 알트는 펀딩비 음전환 종목(예: ADA, XRP) 중심으로 숏 과열 해소 이후 역추세 반등 탐색.
1) 현재 시장 스냅샷 (08월 20일 07:00, KST)
바이낸스 선물(USDT):
- BTC 113,359 (–2.79%), 24h H/L: 116,938.7 / 112,714.4, 펀딩비 +0.0032%
- ETH 4,149.85 (–4.63%), 펀딩비 +0.0100%
- LINK 23.933 (–7.24%), 펀딩비 +0.0100%
- ADA 0.8591 (–7.02%), 펀딩비 –0.0062%
- XRP 2.8932 (–6.00%), 펀딩비 –0.0006%
→ **대부분 플러스 펀딩비(롱 우세)이나 ADA·XRP는 마이너스(숏 우세)**로, 알트코인 내 포지션 기울기 차별화.
업비트 현물(KRW):
- BTC 158,740,000 (–1.72%), ETH 5,804,000 (–3.25%), XRP 4,054 (–4.66%), LINK 33,500 (–6.45%), ADA 1,204 (–6.16%), TRX 492 (+1.03%)
2) 국내–해외 가격 괴리(김치 프리미엄) 체크
USDT=KRW 1,400 기준 환산:
자산해외환산가(원)국내가(원)괴리(원)괴리(%)
BTC | 158,702,600 | 158,740,000 | +37,400 | +0.02% |
ETH | 5,809,790 | 5,804,000 | –5,790 | –0.10% |
XRP | 4,050.48 | 4,054 | +3.52 | +0.09% |
TRX | 491.54 | 492 | +0.46 | +0.09% |
ADA | 1,202.74 | 1,204 | +1.26 | +0.10% |
LINK | 33,506.2 | 33,500 | –6.2 | –0.02% |
해석: 김치 프리미엄이 ±0.1% 내외로 사실상 중립. 국내외 수급 괴리로 인한 급격한 가격 왜곡은 낮은 상태로 판단.
반응형
3) 매수 추천 점수(뉴스 기반 종합 시그널) — 최근 흐름
아래 점수는 시장 전체에 대한 매수/관망 신호(–9~+9)이며, 코인별 점수는 아님.
생성시각(KST)점수해석(요지)
08:20 06:46 | +0.26 | 최근 1시간 호재 우세(채택·정책 완화 시그널), 다만 변동성 이슈 병존 |
05:58 | –1.29 | 가격 후퇴·연준 기대 흔들림 → 매도 압력 우세 |
04:50 | –0.51 | 기관 매집 vs 조정 경고 혼재, 중립 약세 |
03:49 | –0.12 | 고래 매집·낙관론 vs 레버리지 청산 경계, 중립 근접 |
02:40 | –1.94 | 롱 청산·약세 신호·ETF 유출 등 부정 다수 |
01:47 | –1.94 | 위와 동일 톤(약세 재확인) |
00:53 | +0.46 | 정책·채택 호재(국가 안보 자산 언급, 결제 지원) 부각 |
08/19 23:59 | +1.21 |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기관 매수 등 긍정 모멘텀 |
22:50 | –0.41 | 단기 약세 신호와 호재 균형 → 중립 |
21:58 | –0.12 | 장기 강세 전망 vs 단기 매물 출회 |
20:46 | –0.17 | 규제·조정 경고 vs 일부 매집 상쇄 |
19:47 | +1.10 | 기관 매집·채택 확대 → 소폭 플러스 |
18:46 | –1.86 | 대출 서비스 제동·하락 기사 우세 |
17:43 | –1.03 | 규제 강화·ETF 순유출 등 부담 |
16:33 | –1.06 | 조정 압력 우세 |
15:51 | –0.24 | 부정 다수이나 일부 고래 매수로 완화 |
14:45 | +0.51 | 대규모 매수·협업 확대 등 수요 신호 |
13:40 | –1.28 | 규제·하락 강조 기사 다수 |
12:43 | –0.16 | 혼조, 시간 가중 평균 중립 근접 |
11:43 | –0.68 | 조정·비중 축소 권고 부각 |
10:50 | –1.73 | 급락 보도·불확실성 확대 |
09:43 | –3.25 | 공포 확대·숏 증가·거시 불안 |
08:45 | –0.31 | 규제 톤 강화로 심리 억제 |
07:46 | +0.58 | 기관·기업 추가 매수, 단기 플러스 |
06:47 | –0.07 | 긍·부정 이슈 균형 |
요약 통계(최근치 기준):
- 최근 6개 신호 평균 –0.92, 12개 평균 –0.29, 전체 평균 –0.61 → 단기 약세 우위이나 과도한 공포에서 천천히 완화 중.
- 양수 신호 비중: 전체 28건 중 6건 양수 / 22건 음수 → 보수적 스탠스 유지가 합리적.
4) 파생상품·투자심리 읽기
- 펀딩비(Funding Rate):
- BTC +0.0032%, ETH +0.0100%, LINK +0.0100% → 롱 포지션이 미세 우위이나 과열 아님.
- XRP –0.0006%, ADA –0.0062% → 숏 우위의 반대 포지션 쏠림. 역추세 반등 후보로 모니터링.
- 미결제약정(OI):
- 도지코인 선물 OI가 32억 5천만 달러로 하락하는 등 디레버리징 진행. 알트 단기 변동성 완화 신호.
- 옵션(변동성·Put/Call):
- “옵션 투자자, 변동성 축소 전망” 헤드라인 다수. 콜·풋 균형의 중립권에서 변동성 매도 성향(프리미엄 수취) 확대 추정.
- 공포·탐욕 심리:
- 가격 조정·청산 기사와 규제 헤드라인이 이어졌으나, 제도권 수용·결제 채택 뉴스가 상쇄. 중립–공포 사이로 이동하며 급격한 패닉은 아님.
트레이딩 함의:
롱 과열 신호 약화 + 일부 종목 숏 과열 ⇒ 저점 분할 매수/숏 커버 반등 노림 구간이 간헐적으로 발생.
- 다만 BTC 112.7K 붕괴 시 레버리지 잔존 포지션 추가 청산 위험.
5) 기술적 분석(가격대·패턴 중심)
비트코인(BTCUSDT)
- 위치: 113,359 — 24h 저점(112,714.4) 부근, H/L 밴드 하단 압박.
- Bollinger Bands: 하단 인접 거래가 이어져 밴드 수축→확장 전조.
- RSI: 단기 과매도권 근접 추정(정확 수치 미제공, 가격·밴드 위치로 추정).
- MACD: 데드 크로스/하락 다이버전스 보도와 일치하는 약세 모멘텀.
- 이동평균선: 단기선이 하향 기울기, 반등 시 24h 고점(116,938.7) 회수 필요.
- 레벨링:
- 지지: 112,714(24h L) → 이탈 시 112,000대 심리 방어 확인.
- 저항: 116,939(24h H) → 돌파 시 118,000~119,000대 갭 메움 시도.
이더리움(ETHUSDT)
- 가격: 4,149.85 (–4.63%), 24h 저점 4,112.36 인접.
- **펀딩비 +0.0100%**로 롱 미세 우위지만 가격 조정폭이 커 RSI 과매도권 근접 추정.
- 전략: 4,110~4,150 지지 구간에서 숏 커버 반등 체크, 4,240~4,300 회복 시 모멘텀 개선.
체인링크(LINKUSDT)
- 가격: 23.933 (–7.24%), 24h 저점 23.432와 근접.
- 특징: 낙폭 과대 구간. 펀딩 **+0.0100%**로 롱 쏠림은 남아 있으나 가격은 저점권 → 롱의 강제 청산 가능성 후 반등 파동 여지.
카르다노(ADAUSDT)
- 가격: 0.8591 (–7.02%), 펀딩 –0.0062%(숏 우위).
- 해석: 숏 과열→반등 트리거 후보. 0.8500(24h L) 방어 확인 후 0.88~0.90 되돌림 체크.
6) 온체인·펀더멘털 포인트
- 분배 국면 신호: 온체인 분석 헤드라인에 따르면 광범위 지갑 군집이 분배 국면에 진입했다는 해석이 제시. 이는 단기 상단 압력 요인이지만, 강세장 중반부의 건강한 순환일 수도 있음.
- 채택 확대:
- 대형 결제·관광 관련 코인 결제 도입, 기업의 BTC 결제 지원, 플랫폼의 비트코인 팁 기능 등 실사용 확대 뉴스 다수.
- 정책·규제 톤:
- 일부 규제 강화·대여 서비스 제동 기사와 함께, 규제 당국자 발언 완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논의 등 혼조.
- 기관 수급:
- 기관·기업의 추가 매수 및 투자 확대 보도가 이어지며 중장기 펀더멘털엔 우호적.
7) 시나리오별 전망 & 트레이딩 플랜
단기(수일)
- 상방 시나리오:
- BTC가 112,714 지지 후 116,939 재탈환 → 단기 바닥 확인 → 118K~119K 테스트.
- 알트 반등 랠리: 펀딩 음전환 종목(ADA·XRP) 중심 숏 커버링 급반등 가능.
- 하방 시나리오:
- 112,714 붕괴 + 청산 확대로 110K대 테스트. 알트 2차 디레버리징 위험.
중기(수주)
- **거시 이벤트(통화정책·ETF·규제)**에 따라 변동성 유지.
- 기관 매집·채택 확대가 지속되면 고점 갱신 재도전의 토대. 반면 규제/정책 불확실성 확대 시 박스권 재진입.
8) 실행 체크리스트
- 핵심 레벨: BTC 112,714 / 116,939
- 펀딩비 스캔: **음전환 종목(ADA·XRP)**의 숏 과열 해소 타이밍
- OI/청산 모니터: 알트 OI 급변·청산 집계 시 역추세 스캘핑 기회
- 김치 프리미엄: ±0.1% 근처 유지 → 차익거래·괴리 리스크 낮음
- 옵션 톤: 변동성 축소 기조에서 돌발 이벤트(거시·규제) 시 VEGA 리스크 확대 주의
9) 오늘의 핵심 뉴스 포인트(발췌)
- 비트코인 11.3만 달러대 하락 지속, 기술주 약세와 동반 조정.
- 규제 톤 혼조: “대부분 토큰 증권 아냐” 시사 발언 vs 대여 서비스 제동·스테이블코인 규제 논의.
- 채택 확대: 결제 지원·관광 결제 도입·플랫폼 팁 기능 등 실사용 모멘텀.
- 파생 포인트: 도지코인 OI 32.5억 달러로 하락(디레버리징), 옵션 변동성 축소 전망.
결론
오늘 시장은 가격은 저점권, 심리는 중립–공포 사이, 파생 포지션은 과열 완화 구간입니다. 지지선 확인 뒤 기술적 반등 시도가 유력하나, 거시·규제 헤드라인에 따라 방향성이 흔들릴 수 있으므로 레버리지 관리는 필수입니다.
- 현물·현금비중 유지 + 저점 분할 접근(BTC/ETH)
- 알트는 숏 과열 해소 신호 이후 탄력적 대응
- 핵심 레벨과 파생지표 동시 확인으로 페이크아웃 방지가 관건입니다.
※ 본 글은 교육·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손익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반응형
'투자자산 (주식과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23일 암호화폐 데일리 리서치: 파월 효과와 알트 랠리 재점화 (6) | 2025.08.23 |
---|---|
2025년 8월 21일 코인시장 데일리: 비트코인 11.4만 달러 재진입, 이더리움 강세 복귀·체인링크 급등…선물·현물·온체인·파생 지표로 본 다음 구간 (7) | 2025.08.21 |
2025년 8월 19일 08:00 코인시장 데일리: 김치 프리미엄 점검, 펀딩비·레버리지·옵션 흐름, 체인링크 강세 포착 (4) | 2025.08.19 |
코인시장 데일리 인사이트: 김치프리미엄 ‘거의 0’, 펀딩비는 롱 약우위… LINK 강세가 시사하는 것 (3) | 2025.08.18 |
코인시장 데일리 딥다이브: 김치프리미엄 ‘제로’, 펀딩 중립·롱 소폭 우위…LINK 강세·ADA 저점 구간 주목 (3) | 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