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자산 (주식과 코인)

2025년 8월 29일(금) 07:00 코인 시장 종합 리포트

by 나이크 (injoys.com) 2025. 8. 29.
반응형

 

비트코인 11만2천 달러 박스권 공방, 알트코인(특히 SOL·LINK) 강세 전환… 파생·심리·온체인까지 한눈에


1) AI 뉴스 분석 기반 매수 추천 점수(최근 타임라인)

아래 점수는 단일 종목이 아닌 시장 전체 관점의 신호입니다. (기록된 timestamp 기준)

2025-08-29T06:54:38.221497 2.86
2025-08-29T05:52:43.867965 2.86
2025-08-29T04:51:46.249149 1.52
2025-08-29T03:46:13.985092 1.52
2025-08-29T02:44:05.973083 0.84
2025-08-29T01:52:28.913236 0.84
2025-08-29T00:57:29.995267 2.65
2025-08-28T23:54:46.108230 0.95
2025-08-28T22:45:54.931474 -1.20
2025-08-28T21:43:06.210057 -0.28
2025-08-28T20:44:33.379330 -0.33
2025-08-28T19:50:21.574699 0.83

최근 12개 평균: +1.09 (소폭 매수 우위). 강세·약세 뉴스가 교차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완만한 매수 우위가 확인됩니다.


2) 오늘의 핵심 데이터(07:00 기준)

Binance 선물(USDT) 주요 종목

  • BTCUSDT: 112,294.6달러 (+0.95%), 24h 고가 113,429 / 저가 110,811, 펀딩비 0.0068% (미세 롱 우위)
    ↳ 24시간 변동폭: 2,618달러(약 2.33%)
  • ETHUSDT: 4,505.43달러 (-0.01%), 고가 4,633.12 / 저가 4,425.00, 펀딩비 0.0025% (중립에 가까운 롱 우위)
    ↳ 24시간 변동폭: 208.12달러(약 4.62%)
  • LINKUSDT: 25.140달러 (+6.04%), 고가 26.032 / 저가 23.558, 펀딩비 0.0005% (중립)
    ↳ 24시간 변동폭: 2.474달러(약 9.84%)
  • SOL(업비트 현물): 299,400원 (+5.57%)
  • ETCUSDT: +1.57%, 펀딩비 0.0100% (상대적 롱 과열 주의)
  • TRXUSDT: -0.16%, 펀딩비 -0.0067% (미세 숏 우위)
  • XLMUSDT: +0.66%, 펀딩비 -0.0030% (미세 숏 우위)
  • ADAUSDT: +0.56%, 펀딩비 -0.0016% (약한 숏 우위)

**체인링크(LINK)**와 **솔라나(SOL)**가 개별 강세를 주도하고, BTC·ETH는 박스권 내 견조한 공방을 이어갑니다. 펀딩비는 전반적으로 미세한 플러스/마이너스에 그쳐, 파생시장에서 극단적 한쪽 쏠림은 아직 제한적입니다.

반응형


3) 뉴스 플로우 요약(심리·모멘텀)

최근 12시간 내 헤드라인 수급을 요약하면:

  • 호재 축:
    • 미국 GDP 3.3% 서프라이즈 → 위험자산 선호 회복 기대
    • CFTC, 해외 암호화폐 기업 미국 진입 문호 일부 개방 신호
    • 테더, RGB 기반 비트코인 네이티브 USDT(USD₮) 도입 선언(비트코인 생태계 인프라 확장)
    • 이더리움·비트코인 ETF 자금 유입 지속, 일부 기관·기업 매수 확대
    • 솔라나 생태계의 ‘금융 인프라’ 전환(밈에서 스테이블·기관으로 축 확장)
    • 체인링크 커뮤니티·은행 결제 논쟁 부각 → 오라클·은행연계 내러티브 강화
  • 경계 축:
    • 24시간 레버리지 포지션 청산 약 2억 달러 규모 보도 → 변동성 리스크 상존
    • 사기·보이스피싱·불법 환전 사건 다수(투자자보호 이슈 상존)
    • 일부 헤드라인의 단기 약세 뉘앙스(예: ‘BTC 매수세 7년 최저’ 등)
    • 9월 계절적 경계(“9월은 악몽?” 류의 서사) 반복

요지: 구조적·제도권 수요 확대(ETF·스테이블·기관 도입) vs. 단기 변동성/보안 리스크의 팽팽한 균형. 이는 앞서의 매수 추천점수 평균(+1.09)과도 부합합니다.


4) 기술적 분석(가격·변동성·패턴)

(1) 비트코인(BTC)

  • 구간: 110,811(24h 저가) ~ 113,429(24h 고가) 박스권.
  • 핵심 레벨
    • 상단 돌파(113,429 상향 이탈) 시: 단기 매수 추종 수요 유입 가능.
    • 하단 이탈(110,811 하향 붕괴) 시: 숏 모멘텀·롱 강제 청산 재확대 위험.
  • RSI/MACD/Bollinger 관점(정성):
    • 24h 변동폭(약 2.33%)은 최근 헤드라인 변동성에 비해 완화된 중간 수준.
    • 볼린저 밴드 수축-확장 전환 구간에서의 방향성 돌파 가능성 주시.
    • MACD는 박스권에서 시그널 교차가 잦아지는 잡음 구간일 확률↑.
    • 이동평균선(특히 20·50 기준) 수렴 구간일 때 상단 돌파가 나오면 추세 전환 가속.
  • 전략:
    • 상단 돌파 전까지는 스윙 관점(상단 매도·하단 매수)의 박스 트레이딩 유효.
    • 돌파 발생 시 후행 추격보다 눌림목 재진입이 리스크/보상비 우월.

(2) 이더리움(ETH)

  • 구간: 4,425(저가) ~ 4,633.12(고가), **변동폭 208.12달러(약 4.62%)**로 BTC 대비 더 높은 체감 변동성.
  • 해석: ETF 유입/기관 수요 테마가 순환하며 레인지 상단 재도전 여지. 다만 단기 과민반응 구간에선 RSI 과매수 스파이크→되돌림 패턴이 빈발할 수 있음.
  • 전략: 4,633 상향 돌파 시 레인지 확장을 기대하되, 돌파 실패 시 4,425~4,50x 지지 확인 후 재공격이 합리적.

(3) 알트코인 포커스 — SOL·LINK

  • SOL(현물 KRW): +5.57%. “밈→금융 인프라” 전환 서사가 강화되며 기관·스테이블 축과의 결합이 주목.
  • LINK(선물 USDT): +6.04%, 변동폭 약 9.84%. 오라클·전통금융 연계 내러티브가 커뮤니티에서 재점화.
  • 전략 공통점:
    • 강한 일중 변동성으로 볼린저 밴드 상단 이탈→밴드 워크 시 휩쏘 경계.
    • 펀딩비가 아직 과열이 아닌 점은 호재(추가 상승 여지)이나, **ETC의 높은 펀딩(0.0100%)**처럼 과열 신호가 붙으면 되돌림 리스크가 커짐.


5) 파생상품·투자심리(펀딩비·청산·옵션 관점 정성 해석)

  • 펀딩비:
    • BTC 0.0068%, ETH 0.0025%, LINK 0.0005%롱/숏 과열 아님(중립 근접).
    • TRX -0.0067% / XLM -0.0030% / ADA -0.0016%미세 숏 우위.
    • 요약: 시장 전반 레버리지 기울기 중립. 한 방향 극단 쏠림은 아직 제한.
  • 레버리지 청산:
    • 최근 24시간 약 2억 달러 청산 보도 → 단기 과열 포지션 일부 정리, OI(미결제약정)도 동반 축소되기 쉬운 환경.
    • 이 패턴 이후엔 밸런스 재정렬→다음 방향성 시도가 빈발.
  • 옵션(정성):
    • **Put/Call 비율(PCR)**은 일반적으로 급락·청산 국면에서 상승(방어적 풋 수요↑) 후 안정 시 중립 회귀하는 구조.
    • 현재는 현·선물의 중립적 펀딩과 맞물려 옵션 심리도 과도한 공포/탐욕 어느 쪽도 아님을 시사.


6) 온체인·펀더멘털(정성) 체크포인트

  •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확대(테더의 RGB·BTC 네이티브 USDT): 비트코인 레이어 상에서의 결제·유동성 경로 확장 신호.
  • ETF/기관 유입 지속: 비트코인·이더리움의 중장기 바닥 체력 강화.
  • 알트 유동성 회전: “BTC 박스권 ↔ 알트 개별 장세” 구도로 순환 랠리 발생 가능성.


7) 오늘의 트레이딩 청사진(시나리오별)

시나리오 A) 돌파형 강세 전개

  • BTC 113,429 상향 돌파 + 거래량 동반 → 상단 밴드 확장.
  • ETH 4,633 돌파상대강도 가속.
  • 솔라나·체인링크 등 강세 알트는 추세 추종 + 눌림목 분할 접근.

시나리오 B) 재차 박스권 횡보

  • BTC 110,811~113,429에 머물며 고점·저점 갱신 실패.
  • 전략: 레인지 상단/하단 역추세(스윙) + 펀딩 중립을 활용한 세타(시간분해) 관점.

시나리오 C) 하단 이탈(조정 확대)

  • BTC 110,811 하향롱 강제 청산 재유발 위험.
  • 전략: 현금비중 상향변동성 수렴 신호 재확인 때 분할 재진입.


8) 리스크 체크리스트

  • 보안·사기: 최근 보이스피싱·사기 사건 빈발 → 지갑·거래소 보안·KYC 강화 필수.
  • 헤드라인 변동성: “9월 경계” 같은 서사는 오버슈팅/언더슈팅 유발.
  • 파생 과열: ETC처럼 펀딩 급등 종목은 되돌림 리스크 빠르게 확대.


9) 결론 — 오늘의 포지셔닝 요약

  • 시장 상단을 열 수 있는 트리거는 분명히 존재(미 GDP 서프라이즈, 규제 완화 조짐, 스테이블·ETF 수급, SOL·LINK 강세).
  • 다만 펀딩 중립·청산 잔상이 말해주듯, 일방향 몰빵 구간은 아님.
  • 전술적으로는 BTC 113,429 돌파 전까지 박스 스윙, 돌파 이후엔 눌림 재진입, 조정 땐 리스크 관리 우선.
  • 알트는 **개별 강세(특히 SOL·LINK)**를 활용하되, 펀딩 과열 시 즉시 속도조절이 승부처.

반응형